위정자의 자세

20140804000168_0

군자(君子)의 학은 수신이 그 반이요, 반은 목민인 것이다.

君子之學 修身爲半 其半牧民也

-정약용(丁若鏞,1762~1836),『목민심서(牧民心書)』 自序

정약용의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이다. 정조시기에 벼슬 생활을 하였지만 뒤에 유배를 당하여 유배기간동안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윗 글은 목민심서 중에서 정약용이 스스로 서문을 지은 부분이다. 여기서 군자는 덕이 있는 사람을 이르는 것이 아니라 지위가 있는 사람을 이르는 것으로 위정자가 갖추어야할 덕목을 말하고 있다. 군자의 학문은 수신이 반이고 그 나머지 반은 목민이라고 반반 나눈 까닭은 무엇일까. 대체로 고전들 중에서 일이나 사물을 반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경우는 흔히 볼 수가 있다. 서경(書經)의 열명(說命)에서는 가르침은 배움의 반이라고 하였다. 그만큼 중요함 대목을 표현한 것이 아닐까 싶다.

그 당시에도 마찬가지로 위정자들의 폐단은 끊이지 않고 계속 되어 왔다. 정약용은 긴 시간동안 유배생활을 하면서 벼슬하는 사람들이 알아 할 책인 목민심서를 지은 까닭도 이 때문일 것이다. 수신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백성을 다스리는 사람들이 많아 그 폐해는 결국 백성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갔다. 조선사회의 사서삼경에서 첫 번째로 배우는 과목은 대학(大學)인데 이 책에서는 수신이후에 넓혀서 백성을 다스리는 과목을 설명하고 있을 정도로 중요시 여기고 있지만 실천하기는 힘들다.

요즈음의 사목(司牧)이란 자들은 이익을 추구하는 데만 급급하고 어떻게 목민해야 할 것인가는 모르고 있다. 이 때문에 백성들은 곤궁하고 병들어 줄을 지어 진구렁이에 떨어져 죽는데도 그들 사목된 자들은 바야흐로 고운 옷과 맛있는 음식에 자기만 살찌고 있으니 어찌 슬픈 일이 아니겠는가.

今之司牧者。唯征利是急。而不知所以牧之。於是下民羸困。乃瘰乃瘯。相顚連以實溝壑。而爲牧者。方且鮮衣美食以自肥。豈不悲哉

-정약용(丁若鏞,1762~1836),『목민심서(牧民心書)』

이 대목은 내가 고등학교 1학년때 영화 『군도』의 초반부에 폭정을 폭로하는 부분에서 대사로 나왔는데 그 말이 생생히 기억이 난다. 그만큼 위정자의 개인적은 욕심 때문에 백성들이 굶주리고 피해를 입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정약용도 이러한 점을 근심해 목민관들에게 경계를 남긴 것이지 않을까? 위정자의 덕목으로 수신의 중요성을 반이라고 표현한 중요성은 현 시대에 깊이 생각해보아야 할 말이다. 지금 대선이 얼마 안 남은 시점에 언론매체에서는 다양한 대선 후보들이 나오고 있는데 과연 목민하기 위해 수신을 한 후보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현재 정약용과의 시대는 현격히 달라졌지만 위정자의 잘못이 폐단으로 이어짐은 현재나 과거나 똑같다. 하지만 과거에는 위정자를 선택할 수 없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 우리의 손에 달려있으며 후보의 정보를 간편하게 알 수가 있다. 위정자도 수신하여 자기 집안을 화목하게 하고 정치를 하는데 힘쓰도록 노력해야 하는 만큼 우리도 후보가 수신을 하였는지, 집안 사람도 잘 화목하지 못하면서 정치를 하는지를 가려서 선택해야 할 몫이 아닐까 싶다.

구독
알림
guest
0 답글
Oldest
Newest
본문 내 피드백
모든 답글 보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