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원고

번역원을 졸업하고 첫 원고를 받았다. 마음으론 원고를 제대로 할 실력이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졸업을 하면 어떻게든 해야 하는 일이었다.

스키를 타고 느낌이 있어 짓다_Skiing有感

과연 스키장이 잘 운영되고는 있는 것인가 의구심이 들기는 했지만 ‘성수기 주말의 한적한 스키장’의 실존을 확인하고 싶은 마음에 일단 가보기로 했다.

졸업

돌이켜보면 지난 2년의 시간은 한문이 느는 시간이었다기보다는 공부를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 깨달아가는 시간이었던 것 같다.

졸업을 기념하며

연구과정을 들어온 날이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2년이 훌쩍 흘러 버렸다.

언해의 중요성

한문을 배우게 되면 처음에 《논어(論語)》, 《맹자(孟子)》 등의 교재를 보게 된다. 책을 펼쳐 보면 옆에 조그마하게 언해가 붙어 있는데, 나는 처음

어제자 성편? 어제 자성편!

2학년이 되어 새로운 시간표를 보니 과목이 조선법제자료강독과 중국사적강독과 당송시강독으로 되어 있었다. 조선법제자료강독은 《대전통편(大典通編)》을 배우고 당송시강독은 《두율우주(杜律虞註)》라 들어본 책들이었지만 중국사적강독은 《어제자성편(御製自省編)》이라는

법대로 합시다

연수과정 3학년 때 ‘고법전강독’ 과목에서 처음 조선 시대의 법전인 《대전통편(大典通編)》을 접했다.

여수의 섬, 하화도의 바다

여수다. 이름만 들어도 까닭 없이 입가에 미소가 번지는 여수다. 여수라고 하면 단연 ‘여수 밤바다’가 떠오르겠지만 야영을 즐기는 백패커들에게는 밤바다보다 섬

시상(詩想)

한문의 세계는 아득한 창해와 같아 평생을 보아도 다 알 수는 없다. 그러나 현재는 이미 묵은 문자가 되어버려 더 이상 쓰지

우당탕탕 핸드폰 구입기

느닷없이 최신 핸드폰이 생겼다 그것도 온라인 주문 시 한 달은 기다려야 하는 바로 그 아이폰14 프로 맥스가. 원래 쓰던 핸드폰은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을 읽는 중에

필자는 업이 업인지라 고서는 날마다 봅니다만, 독서라고 하기에는 민망합니다. 이런 필자가 우연히 책을 추천받아 읽게 되었습니다. 제목은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

망고 누나를 찾아서

속리산에 위치한 쌍곡계곡은 정말 세속을 벗어난 듯 산속에 있다. 망고 누나를 찾아서 떠나야 하지만 찾기도 전에 벌써 우릴 찾아온 누나를 만나 백숙을 먹고, 함께 계곡으로 이동해 시원한 물에 몸을 담그니 남은 피로마저 싹 사라진다.

괴산의 여름

더운 창자를 시원하게 씻어내리며 영문도 모르게 웃음이 터지던 즐거운 여름날이었다. 동기들에게도 두고두고 기억나는 그런 밤이 되었기를.

엽등(獵等)의 대가(代價)

중국 송나라 때 주자가 제자 여조겸과 함께 편찬한 《근사록(近思錄)》이라는 책에 학문과 관련하여 이런 말이 나온다. 學必有序, 不容躐等, 積累而高, 必自下始. “배움은 반드시 차례가 있어서

절주(節酒)

술을 잘 못 마시는 사람을 ‘알쓰’라고 하는데 ‘알쓰’는 알코올 쓰레기의 줄임말이다. 나 역시 알쓰로 많이 마시지는 못하지만 술이 싫지는 않다.

적벽부 감성 따라잡기

이제 정말 코로나가 물러가려나보다. 물론 거리를 좁혀 대학 축제를 즐긴 대학가 근처 편의점의 자가진단키트가 동이 났다는 소식이 들려오기도 하고, 아직

동학(同學)

코로나로 녹화 수업으로 연수과정을 보내 연수생일 때는 아는 사람이 드물었지만 연구과정에 들어와서는 대면 수업이라 다들 얼굴을 자주 보고 친해질 기회도

이 사람아! 정신 차리고 공부해!

이번 학기 기억에 남는 유행어는 아마 ‘이 사람아’ 가 될 듯 하다. “‘이 사람아’ 그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나.” “저 아무래도

좌우를 돌아보며 다른 말을 했다

《논어》와 《맹자》로 한문 읽기를 처음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단어가 쉽고 문장이 짧아 이해하기 쉬운 《논어》부터 읽고, 그 뒤에 글의 호흡이 긴

양양히 귀에 가득하구나

2015년 유난히 더웠던 여름, 아무리 창문을 열어놓아도 바람이 통하지 않아서 집에 있으면 꽉 막힌 답답한 공기에 그저 입만 벌린 채

평생 기억에 남을 16자결

내가 한문을 처음 배울 때 본 책은 《중용》이다. 원래 순서라면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의 순서로 읽어야 하지만 한문에 대해 전혀

연구과정 나의 새로운 시작

정신을 차려보니 서울이었다. 정말 아무 기대가 없었던 시험이었다. 기대가 없었다고 말하면 너무 이상하게 들리려나. 더 정확히 말하면 그저 내가 할

고전으로 뭐라도 하고 싶어서

“사서삼경은 읽었니?” 고전문학 전공으로 대학원에 입학할 때 지도교수님이 처음으로 내게 하신 말씀이다. 로켓을 쏘아 올린 지도 한참 된 시대에 사서삼경을

승정원일기 번역하는 일기

나른한 오후 점심을 먹고 집에서 빈둥거리며 누워있는데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고전번역교육원에서 걸려온 전화였다. “000 학생이시죠?” “네 맞아요” “역사문헌하고 문집하고

내가 연구과정생이 될 상인가

터덜터덜 마음이나 비울 겸 운동을 하러 가는 중에 전화벨이 울린다. “…발표 난거야?” “응” “……..” “합격을 축하드립니다. 그동안 수고 많았어.” “정말?

공부의 자세

일과를 외우지 못하는 사람은 회초리 50대, 전에 배운 것을 외우지 못하는 사람은 60대, 장기와 바둑 등의 놀음을 하는 자는 70대,

위로 스크롤